반응형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오늘은 배열과 스캐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열
배열은 변수랑 비슷하지만 한 가지 더 해야 할 과정이 있다.
선언 -> 생성 -> 초기화 총 3단계로 일어난다.
같은 데이터 유형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변수와 달리 배열은 유형 뒤에 [] 대괄호를 넣어 선언한다.
-배열은 순서가 있고 시작은 0부터 시작한다.
-배열은 선언 시에는 크기를 명시할 수 없으며, 생성 시에 크기를 생성한다.
ex1)
- 배열의 길이란 배열에 저장할 수 있는 전체 항목 수를 말한다. 6번의 코드는 배열의 길이를 확인하는 명령이다.
ex2)
스캐너
내가 이해한 바로 쉽게 설명한다면 스캐너를 열어 콘솔 창에 입력할 수 있게 만들어주고 스캐너를 닫는다.라고 이해했다.
입력받을 데이터 타입에 따른 메서드 호출이 다르다. scan.블라블라()
- next() :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 문자열을 입력받을 때
- nextLine() :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받을 때
- nextInt() : 정수를 입력받을 때
- nextDouble() : 실수를 입력받을 때
ex)
여기까지 배열과 스캐너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감사합니다.
*m1맥북을 사용 중입니다*
728x90
반응형
'6개월 대장정 > JAVA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일차 - do-while문, for문 (0) | 2021.08.19 |
---|---|
4일차 - if 문, switch문 그리고 while 문 (0) | 2021.08.18 |
3일차 - 연산자(2) (0) | 2021.08.17 |
2일차 - 변수, 연산자(1) (0) | 2021.08.12 |
1일차 - JAVA 설치, 이클립스 설치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