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개월 대장정

(97)
51일차 - [JSP] attribute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JSP 기본 객체의 속성(Attribute)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attribute 웹 애플리케이션은 네 가지 영역(scope)으로 구성된다. scope는 조금 나중에 알아볼 것이다. 이 이야기를 한 이유는 네 가지 영역에는 네 개의 기본 객체가 있고 그 객체들은 속성을 갖는다. 각 기본 객체가 존재하는 동안 기본 객체의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속성은 JSP 페이지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거나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속성은 의 형태를 갖는다. 네 개의 기본 객체는 서로 다른 이름을 갖는 속성을 여러 개 포함할 수 있다.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void 이름이 name인 속성의 값을 value로 지정. g..
51일차 - [JSP] include디렉티브, <jsp:include> 액션 태그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JSP의 실행 결과나 코드를 포함할 때 사용하는 include 디렉티브와 액션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clude 디렉티브 include 디렉티브는 지정한 페이지를 현재 위치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include 디렉티브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공통 변수를 선언할 수 있고, 저작권 표시와 같이 모든 페이지에서 중복되는 간단한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 include 디렉티브를 사용하면, JSP 파일을 자바 파일로 변환하기 전에 include 디렉티브에서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해당 위치에 삽입하고, 그 결과로 생긴 자바 파일을 컴파일한다. include 디렉티브의 사용방법은 과 같다. file 속성은 include 디렉티브를 사용해서 포함할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50일차 - [JSP] get-post, path, icon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jsp의 get 방식 전송과 post 방식 전송 그리고 경로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et-post 웹 브라우저는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두 가지 방식 중 한 가지를 이용해서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form 태그의 method 값을 post로 아래와 같이 지정하면, POST 방식으로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점은 전송 방식에 있다. URL의 경로 뒤에 물음표와 함께 파라미터를 붙여 전송하는 것을 쿼리 문자열(query string)이라고 한다. GET 방식으로 요청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경우 파라미터가 URI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POST 방식은 데이터 영역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49일차 - [JSP] input attributes, select, textarea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오늘은 input attributes, select 태그, textare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put attributes input 요소의 다양한 특성이 있다. required - 반드시 입력 필드를 입력해야 함을 지정한다. 텍스트, 검색, url, tel, 이메일, 암호, 날짜 선택기, 번호, 확인란, 라디오 및 파일 입력 유형에서 작동한다. disabled value - 입력 필드를 사용 안함으로 지정한다. 클릭할 수 없고 사용할 수 없다. readonly value - 입력 필드가 수정할 수 없는 읽기 전용임을 지정한다. placeholder - 입력 필드의 예상 값을 설명하는 짧은 힌트를 지정한다. 텍스트, 검색, url, tel, 이메일 및 암호와 같은 입..
49일차 - [JSP] input types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JSP의 input typ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put type HTML input 태그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type 속성들을 가지고 있다. type 속성의 기본값은 text이다. type의 이름들이 보면 유추가 가능할 정도이기에 설명 없이 바로 예시를 보겠다. ex1) -> 25번 줄에는 0부터 10까지 2씩 올라가는 즉, (0, 2, 4, 6, 8, 10)의 숫자만 선택할 수 있다. 은 단일 줄 텍스트 입력 필드를 정의한다. 즉, text를 입력할 수 있다. ex1)
48일차 - [JSP] request, form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JSP의 request 기본 객체와 HTML for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quest 기본 객체 request기본 객체는 JSP 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객체로서 웹 브라우저의 요청과 관련이 있다. 웹 브라우저에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면, 웹 브라우저는 해당 웹 서버에 연결한 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request 기본 객체이다. request 기본 객체는 웹 브라우저, 즉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정보와 서버 정보를 구할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한다. getRemoteAddr() String 웹 서버에 연결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구함. getContentLength() long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요청 정보의 길이 ..
48일차 - [JSP] page 디렉티브, 스크립트 요소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오늘은! page 디렉티브, JSP의 스크립트 요소 세 가지, request 기본 객체, form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age 디렉티브 - import 속성 를 page 디렉티브라고 한다. JSP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때 page 디렉티브를 사용한다. JSP가 생성하는 문서의 타입, 출력 버퍼의 크기, 에러 페이지 등 JSP 페이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다. 자바는 클래스의 완전한 이름 대신 단순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 import 구문을 사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JSP는 page 디렉티브의 import 속성을 사용해 JSP 코드에서 클래스의 단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import 속성의 값으로 여러 타입을 지정할 수도 있는데, 이때 각 타..
47일차 - [JSP] 톰캣 설치(이클립스 설정), emmet 설치, 주석 안녕하세요. pitang입니다. 이제는 JSP(Java Server Pa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하게는 JSP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모두해보겠습니당~! JSP 기초 JSP는 동적 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바의 표준 기술이다. HTML 응답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더 정확하게는 HTML응답뿐만 아니라 XML, JSON, 바이너리 파일 등도 응답으로 생성할 수 있지만, JSP 코드를 작성하는 주된 목적은 웹 브라우저에 보여 줄 HTML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JSP를 이용해서 만든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톰캣(Tomcat)이나 제티(Jetty) 또는 JBoss EAP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단순 웹 서버가 정적인 HTML 파일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

728x90
반응형